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Antonio Lucio Vivaldi, 1678년 3월 4일 ~ 1741년 7월 28일)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성직자,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이다. ‘붉은 머리의 사제’(司祭, il Prete Rosso)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음악가로서 대중화를 시도한 인물 중의 한 명이기도 하다. 4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된 《사계》의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다. 붉은 머리라서 평생 붉은 머리의 신부라는 조롱과 멸시를 당하기도 했다. 또한 체력이 좋지 않았던 그는 미사보다는 작곡이나 성가대 업무를 주로 보았다.
생애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주자였던 조반니 바티스타의 아들로 태어나, 부친에게 음악의 기초를 배웠다. 아버지는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대성당 성가대의 바이올리니스트를 하기도 했다. 이후 레그렌치에게 작곡을 배웠다. 15세에 신학교에 입학하여 23살에 서품을 받았으나, 본디 몸이 허약하여 숨이 차서 미사를 올릴 수가 없었기 때문에 음악에 전념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한편 그는 머리가 붉은 색이라 평생 '빨강 머리의 신부'라는 놀림을 받았다. 비발디는 1703년부터 1740년에 걸쳐 대체로 베네치아의 여자 고아원 겸 음악학교이던 피에타 고아원에서 근무했으며 1716년에는 피에타 고아원 밴드부의 합주장(合奏長)이 되었다. 이 학원 학생들의 오케스트라는 당시 유럽에서도 명성을 떨쳤기 때문에 비발디는 음악에 전념할 수 있었으며, 자작한 오페라를 상연하기 위하여 이탈리아 각지를 순회하기도 하고 빈이나 암스테르담으로 가기도 하였다. 1741년에 빈으로 간 비발디는 빈궁 속에 객사(客死)하여 그 곳 빈민묘지에 안치되었다. 이 때의 빈 방문 목적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황제 카를 6세의 후원을 받으러 간 것으로 추측된다. 비발디의 이름은 그 후 잊혀 있었으나 바흐가 편곡한 작품이 계기가 되어 재조명되었다.
주요 작품
그의 작품은 오페라와 여러 곡의 교회 음악, 기악곡 등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바이올린을 주로 한 협주곡이 특히 유명하며, 그 당시 악곡에 비해 리듬이 활발하고 노래하듯 아름다운 선율을 가지고 있다. 비발디의 작품은 독일 음악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바흐는 그의 작품을 건반악기 연주용으로 편곡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신포니아 23곡, 합주 협주곡 <조화의 영감>,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사계> 등이 있다. 특히 <사계>는 표제 음악의 표본으로 불린다. 그는 약 500곡이나 되는 기악작품, 약 40곡의 오페라 외에 모테토,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을 작곡했다. 작곡은 처음에는 베네치아나 암스테르담에서 출판되었으나 대부분은 수고(手稿) 형태 외엔 남아 있지 않다. 비발디는 무엇보다 우선 토렐리(1658년~1709년), 알비노니(1671년~1750년)들에 의하여 개발된 독주 콘체르토의 세계에서 안정된 양식을 확립시킨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또 복수(複數)의 독주악기로 하는 콘체르토도 수없이 썼으나 이것은 대개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3악장으로 되었으며 전합주와 독주가 교대하는 리토르넬로 형식을 취하고 있다.
- wikiPedia / 안토니오 비발디
Selected Sound
Antonio Vivaldi / Violin Concerto in E major, Op.8, No. 1, RV 269: Spring (La primavera) from the Four Seasons
Performer
- Itzhak Perlman: 이스라엘 야파 출신 미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자
Composer
- Antonio Vivaldi: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성직자,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compos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곡가 시리즈] 19세기의 가장 뛰어난 종합 예술인 "리하르트 바그너" (0) | 2022.01.19 |
---|---|
[작곡가 시리즈]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 (0) | 2022.01.15 |
[작곡가 시리즈] 러시아가 낳은 클래식 음악의 거장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0) | 2022.01.13 |
[작곡가 시리즈] 핀란드의 국민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 (0) | 2022.01.11 |
[작곡가 시리즈]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