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곡

가곡 “사랑” (이은상 시, 홍난파 곡) 이은상 시 / 가곡 “사랑” (홍난파 곡) 槪說 탈대로 다 타시오 타다 말진 부대(부디)마소 타고 다시 타서 재 될 법은 하거니와 타다가 남은 동강은 쓰올(쓸) 곳이 없느니다 반타고 꺼질진대 애제(아예) 타지 말으시오 차라리 아니타고 생남(생나무)으로 있으시오 탈진대 재 그것조차 마저 탐이 옳으니다 사랑 / 鷺山詩調集 이 노랫말은 1932년에 출판된 에 나와 있는 이은상(鷺山 李殷相, 1903-1982)의 시 '사랑'이다. 이 시조집에는 특이하게도 작자의 시작(詩作) 동기와 배경 등이 해설처럼 함께 실려져 있다. 아래 내용은 노산(鷺山)이 시와 함께 덧붙인 글을 옮겨온 것이다. “어떤 친구와 함께 무릎을 맞대고 앉아 장시간 시를 논하던 중, 화두가 '세월의 덧없음'에 이르고 이어서 '청춘과 사랑'을 논하.. 더보기
장일남 / 기다리는 마음 장일남 / 가곡 기다리는 마음 (김민부 시) 槪說 “일출봉에 해 뜨거든 날 불러주오/ 월출봉에 달 뜨거든 날 불러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님 오지 않고/ 빨래 소리 물레 소리에 눈물 흘렸네” 은 장일남이 작곡한 한국 예술가곡이다.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난 장일남은 1950년 6.25전쟁 때 연평도로 내려와 1년 정도를 머물면서 우연히 제주 방언으로 쓰여진 시가(詩歌)를 지인으로부터 받아 읽은 적이 있었다고 한다. 그 내용은 방언으로 쓰여 독해가 쉽지 않았으나 작곡가의 회고에 의하면, “사랑하는 여인을 제주도에 남겨두고 육지(목포?)로 온 남자는 월출봉에 올라가 제주에 두고 온 여인을 그리워하고, 제주 여인은 성산 일출봉에 올라가 떠난 남자를 그리워하다가 망부석이 되었다.”는 전설 같은 이야기이지만, 시가의 .. 더보기
김효근 / "눈" 김효근 / 가곡 "눈(Snow)" 槪說 "조그만 산길에 흰눈이 곱게 쌓이면/ 내 작은 발자욱을 영원히 남기고 싶소/ 내 작은 마음이 하얗게 물들 때까지/ 새하얀 산길을 헤매이고 싶소" 가곡 “눈(Snow)”을 작곡한 김효근 교수(이화여대 경영학과)가 서울대 경영학과 3학년 때인 1981년 가을, 서울 남산 기슭 숭의여고 대강당에서 개최된 제1회 MBC 대학가곡제에 서정성 깊은 가곡 '눈'을 발표해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영예의 대상을 수상한다. 지원자 95명 중 음악 비전공자는 그가 유일했다고 한다. 눈 / 김효근 시 조그만 산길에 흰눈이 곱게 쌓이면 내 작은 발자욱을 영원히 남기고 싶소 내 작은 마음이 하얗게 물들 때까지 새하얀 산길을 헤매이고 싶소 외로운 겨울새 소리 멀리서 들려오면 내 공상에 파문이 일.. 더보기
가곡 / 산길 (박태준 곡, 양주동 시) 박태준 곡, 양주동 시 / 가곡, 산길 槪說 가을비 속에 맞은 한글날, 기념일은 어제였지만, 뜻있는 날에 즈음하여 국문학자 양주동 선생의 시에 작곡가 박태준 선생이 곡을 붙인 우리 가곡 “산길”을 소개합니다. 시 “산길”을 쓴 양주동(梁柱東 1903-1977)은, 황해도 개성에서 출생하여, 일본 와세다대학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 동국대와 연세대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젊었을 때에는 영문학을 강의하면서 시인과 문학이론가로서 활약하였으나, 신라향가(新羅鄕歌)에 관심을 가지면서부터는 주로 고시가(古詩歌)의 해석과 주석에 전념하는 국문학자로 전신(轉身)하였다. 특히 시인으로서 양주동은 “금성(金星)” 동인으로 등장하여(1923) 민족주의적 성향의 시를 주로 썼으며, 시집 “조선의 맥박(193.. 더보기
장일남 곡 / 비목(碑木, 한명희 시) k-Art Song / Bimok (Wooden tombstones in the war field during Korean war) 解說 비목碑木은, 말 그대로 나무를 깎아 세운 묘비로서, 비석(碑石)의 '석'을 나무 목(木)으로 대체한 용어이며, 가곡 〈비목〉은, 6.25 전쟁중에 산화한 무명용사들의 넋을 기리는 한명희(韓明熙)의 시에 장일남(張一男)이 곡을 붙여 1969년에 발표한 한국 예술 가곡이다. 이 곡은 현충일을 전후하여 여러 매체에서 자주 소개되고 듣는 곡이기도 하지만, 국가를 위해 산화한 젊은 영혼들을 추념하는 뜻에서 기존 게시물의 내용 일부를 수정하여 다시 한번 소개한다. 장일남이 쓴 우리 예술 가곡 〈비목〉은 전체 16마디로 A(ab), B(cb')의 구조로 된 두 도막 형식의 노래이다.. 더보기
고향의 노래 / 이수인 곡(김재호 시) 한국 예술가곡: 고향의 노래 아래의 글은, 이 곡을 쓴 이수인 선생의 “고향의 노래”에 대한 회고담과 김재호 선생이 쓴 노랫말을 옮겨온 내용입니다. 몸살 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작품을 완성했을 때의 기쁨은 마치 바라고 바라던 귀한 아이를 얻은 어머니의 기쁨에 비길 만한데. 이는 오직 창작의 기쁨을 맛본 자만이 누리는 특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내게 있어 행복한 순간이 언제냐고 묻는다면 단연 독서나 명상을 통해 얻은 좋은 글과 악상으로 새로운 곡을 탄생시켰을 때라고 말하고 싶다. 그 중에서도 1960년대 말 “고향의 노래”를 작곡하고 났을 때 받은 마음의 위안과 행복감을 지금도 나는 잊지 못한다. 그 당시 나는 꿈같이 지낸 고향에서의 교직생활을 접고 서울로 와 새로운 생활을 시작했는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