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페라

바그너 / 오페라 탄호이저 중 "순례자의 합창" Richard Wagner / Pilgrim’s Chorus from Opera Tannhauser 槪說 탄호이저(Tannhäuser, full title Tannhäuser and the Minnesängers' Contest at Wartburg)는 중세 음유시인이자 기사였던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Heinrich von Ofterdingen)을 모델로 삼아 ‘사회 인습에 저항하는 예술가의 초상’을 보여준 오페라로서,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는 스스로 ‘불행한 천재’라고 믿었던 자신의 모습을 주인공 탄호이저에게 투사하었다. 13세기 문학작품인 “마네스 노래집(Minnesingers)”과 “바르트부르크 노래 경연(Wartburg Song Contest)”, 그리고 이 중세.. 더보기
바그너 / 오페라 탄호이저 중 ‘입장 행진곡과 합창’ Richard Wagner / “Entry of the Guests(March) and Chorus” from Tannhauser 解說 오페라 탄호이저(Tannhäuser, 1843-1845)는, 13세기의 음유시인 탄호이저를 소재로 하여 빌헬름 리하르트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22 May 1813 – 13 February 1883)가 직접 쓴 대본으로 작곡한, 3막 구성의 낭만적 오페라이다. 원제는 ‘탄호이저와 바르트부르크의 노래 경연(annhäuser und der Sängerkrieg auf Wartburg)’이며, 1845년 10월 드레스덴에서 초연되었다. 또한 탄호이저는 로엔그린(Lohengrin, 1846-1848)과 함께 바그너의 초기 오페라를 대표하는 작품으로서, .. 더보기
마스네 / 오페라 “타이스”의 명상곡 Jules Massenet / Meditation from Opera “Thais”解說 오페라 “타이스(Thaïs)”는 아나톨 프랑스(Anatole France)의 동명 소설을 루이 갈레(Louis Gallet)가 각색하고 마스네(Jules Massenet)가 곡을 붙인 3막 구성의 오페라이다. 또한, 오페라 “타이스”는,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를 배경으로 한 수도자 아타나엘과 아름다운 무용수 타이스의 비극적인 사랑을 극화한 것으로서, 육체와 영적 사랑으로 번민하던 여주인공 타이스의 종교적 귀의과정이 묘사되는 제2막 1장과 2장 사이에서 연주되는 아름답고 서정적인 간주곡, “명상”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작품 배경 19세기 프랑스 오페라사에 한 획을 그은 쥘 마스네는 1884년부터 발표한 .. 더보기
헨델 / 오페라 리날도중 울게 하소서 G. F. Handel / Lascia ch’io pianga from Rinaldo 解說 리날도(Rinaldo)는 헨델이 작곡한 3막의 오페라 세리아(Opera seria)이며, “울게 하소서(Lascia ch'io pianga)”는 《리날도》의 2막 중에 적군의 여왕 아르미다에게 사로잡힌 알미레나가 자유를 염원하며 부르는 소프라노 아리아다. 오페라의 내용은 11세기 제1차 십자군전쟁을 배경으로 사라센의 왕 아르칸테에게 점령되어 있던 성지 예루살렘을 점령하려는 십자군 사령관 고프레도의 딸 알미레나와 장군 리날도의 사랑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마법의 성에 갇혀 있는 알미레나를 구출하기 위한 리날도 장군의 활약과 결국 두사람의 사랑이 이루어져 행복한 결말을 맺는다는 이야기이다. 원곡은 헨델이 1705년에 작.. 더보기
플로토 / 오페라 ‘마르타’ 중 “꿈과 같이” Friedrich von Flotow / Aria "M'apparì tutt'amor" from the opera “Martha” 解說 플로토(Friedrich von Flotow, 1812-1883)는 독일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주로 독일에서 활동한 작곡가이다. 플로토가 남긴 작품으로는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1844년, 함부르크), 마르타(Martha: 1844년, 빈)을 비롯한 오페라, 오페레타, 발레 작품 등 30여곡이 있으며, 이 외에도 소수의 실내악 곡들이 있다. 하지만, 19세기 독일 작곡가 프리드리히 폰 플로토의 이름이 아직까지 잊히지 않고 대중의 뇌리에 남아있는 것은 플로토의 오페라 ‘마르타(Martha)’ 3막의 아리아 ‘꿈과.. 더보기
로시니 / 오페라 윌리엄 텔 서곡, “피날레” Gioachino Rossini / "Finale" to the William Tell Overture: March of the Swiss Soldiers 볼프강 폰 괴테와 함께 독일문학을 대표하는 프리드리히 쉴러의 작품들은 여러 오페라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베르디는 쉴러의 대표작인 [도둑떼], [오를레앙의 처녀], [간계와 사랑], [돈 카를로스]를 바탕으로 오페라 [도둑떼], [조반나 다르코](잔 다르크), [루이자 밀러], [돈 카를로]를 작곡합니다. 그리고 조아키노 로시니 최후의 역작 [빌헬름 텔](원제는 프랑스어 '기욤 텔(Guilliaume Tell)') 역시 쉴러의 [빌헬름 텔]을 바탕으로 작곡되었습니다. 쉴러가 1802-1804년 사이에 쓴 [빌헬름 텔]은 그의 마지막 희곡 작품이었습니다... 더보기
파가니니 / 롯시니 오페라 “이집트의 모세” 주제에 의한 변주곡 N. Paganini / Variations on a Theme from Rossini’s Opera “Moses in Egypt” 파가니니는 로시니의 오페라에서 그 주제를 빌려와 몇 곡의 변주곡을 작곡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작품이 ‘모세’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다. 원 곡은 피아노 반주에 의한 바이올린 곡으로서 G선만을 사용해 연주하도록 되어있으며, 파가니니 특유의 기교와 아름다운 가락이 잘 어우러진 곡이지만, 대중적으로 알려진 곡은 아니다. 이윤하 첼로 독주회(2010.12.11 금호아트홀) 프로그램 노트 Selected Sound N. Paganini / Variations on a Theme from Rossini’s Opera “Moses in Egypt” Performer Han Na Chan.. 더보기
베르디 / 오페라 리골레토 중 "여자의 마음" Giuseppe Verdi / "La donna e mobile" from opera Rigoletto “바람에 날리는 갈대와 같이 항상 변하는 여자의 마음~” 이런 노래 아시죠? 원래 이탈리아어 가사에서는 ‘깃털’이었는데, 우리말로 번역할 때 ‘갈대’가 되었네요. 이 ‘여자의 마음(La donna e mobile)’이라는 아리아는 아주 가볍고 명랑하게 들리지만, 이 노래가 들어있는 오페라 [리골레토]는 베르디의 여러 걸작 오페라 가운데서도 가장 사회비판적 성격이 강한 작품입니다. 16세기 프랑스 왕이었던 프랑수아 1세와 그의 궁정 광대였던 트리불레를 주인공으로 삼아 권력자의 부도덕성과 횡포를 고발한 원작 드라마 왕의 환락(Le Roi s'amuse)은 프랑스의 문호 빅토르 위고의 희곡이었습니다. 이 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