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oser

[작곡가 시리즈] 바로크 음악의 거장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685년 3월 21일 ~ 1750년 7월 28일)는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이며, 개신교회의 교회 음악가이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프로필 이미지

교회 성기사와 오케스트라, 듀오 악기를 위한 종교적이거나 세속적인 음악을 창작했고, 그의 작품은 바로크 시대의 종말과 궁극적인 성숙을 동시에 가져왔다. 바흐는 바로크 시대 말기에 위치하는 대가로서, 일반적인 작품은 독일음악의 전통에 깊이 뿌리박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위에 이탈리아나 프랑스의 양식을 채택하고 그것들을 융합하여 독자적이고 개성적인 음악을 창작하였다. 종교적인 작품은 기존 구교 음악과 차별화하여 새로운 음악을 통해 개신교회 예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바흐의 집안은 200년에 걸쳐서 50명 이상의 음악가들을 배출한 음악가계였다. 바흐 집안 음악가들은 대대로 개신교회인 루터교회의 경건한 신자들이었고, 교회음악가로도 활동하였다. 또한 그들은 자신의 일에 강한 장인(匠人)적 긍지를 품고 있었다. 이 '신앙'과 '장인기질(匠人氣質)'은 요한 제바스티안에게도 계승되어서, 마치 2개의 정선율(定旋律)과 같이 그의 일생을 관통하게 된다. 제바스티안 이전에도 17세기 초엽 이래 많은 유명한 작곡가를 배출했고, 일족의 중심지였던 중부 독일의 튀링겐 지방에서는 '바흐'라는 말이 '거리의 악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일 정도였다. 그 중에서도 제바스티안의 큰할아버지 하인리히 바흐(1615-1692), 그 아들 요한 크리스토프 바흐(1642-1703)와 요한 미하엘 바흐(1648-94)는 음악사(史)에도 이름을 남긴 뛰어난 작곡가들이었다.

 

바흐는 사후 고전주의 음악사의 흐름에 밀려 완전히 잊혀 졌으나 1802년 독일의 음악사학자인 포르켈이 바흐에 대한 최초의 연구서인 "바흐의 생애와 예술, 그리고 작품(Über Johann Sebastian Bachs Leben, Kunst und Kunstwerke": 1802)을 발표함으로써 유럽 전역에 바흐 광풍을 몰고 오게 했으며 또한 사후 바흐에 대한 재평가에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오늘날 바흐는 온 시대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다.

 

바로크 음악과 바흐

바로크 음악에 있어서 바흐는 대위법 기술의 정수를 다한 사람이나, 그것에만 만족하지 않고 당시에 이미 궁정문화에 침투했던 프랑스나 이탈리아의 양식을 스스로 받아들여 칸타타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도 했다. 거기에는 그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운 여러 나라의 온갖 요소가 모두 투입되어 그만이 지닐 수 있는 독창성으로 융화되어 일치미를 이루고 있다. 콘티누오(통주저음)만으로 반주되거나 또는 여러 개의 악기로 반주되는 독창이나 중창에 의한 이탈리아식 다 카포 아리아, 오페라적인 아리오소와 레치타티보, 가장 초기의 가브리엘 형태에서 바흐 시대의 프랑스식 서곡에 이르기까지 관현악 신포니아, 협주곡, 트럼펫 팡파르, 풍요한 장식성을 지니고 성악성부에 얽혀드는 기악의 오블리가토 성부, 복합창형식, 때로는 성악에까지 적용되는 프랑스의 리드미컬한 춤곡, 이러한 것들이 독일의 오랜 전통적인 코랄과 결부되고 있다. 대체로 바흐만큼 코랄을 훌륭하게 활용하고 또 코랄을 창작의 중심으로 삼기에 정당함을 느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여러 나라 양식의 혼합은 기악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프로베르거의 전통, 쿠프랭의 프랑스 모음곡형식, 쿠나우에 의하여 전해진 이탈리아의 소나타 다 카메라양식, 도메니코 스카를라티의 건반 텍스처(鍵盤書法), 푸가에 있어서도 클라비어 푸가는 이탈리아 협주양식의 영향을 나타내나 오르간 푸가는 북독일 오르간 악파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협주곡 분야에서는 끊임없이 비발디가 모범으로 숭앙되며, 가장 이탈리아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바흐의 작품은 매우 다양한 양식을 포함하고, 또한 작곡 분야도 광범위하며, 바흐 자신도 시대에 따라 기술적, 내용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인 양식을 간단히 종합하기는 곤란하다고 할 수 있겠다.

 

  • wikiPedia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Selected Sound

Johann Sebastian Bach / Harpsichord Concerto No.1 in D major, BWV 972

Performers

Composer


바흐의 하프시코드협주곡1번이 수록된 앨리슨발솜의 연주앨범 표지사진
Johann Sebastian Bach / Harpsichord Concerto No.1 in D major, BWV 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