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al

세자르 프랑크 / 생명의 양식 Cesar Franck / Panis Angelicus 槪說 Panis angelicus, fit panis hominum; Dat panis cœlicus, figuris terminum: O res mirabilis! Manducat Dominum pauper, servus et humilis. Te trina Deitas, unaque poscimus: Sic nos tu visita, sicut te colimus; Per tuas semitas, duc nos quo tendimus, Ad lucem quam inhabitas. Amen. Panis Angelicus / Sacris Solemniis: Thomas Aquinas(1225-1274) 작년으로 탄생 200주년을 맞이했던 벨기에 출신.. 더보기
포레 / 장 라신느의 찬가, Op.11 Gabriel Faure / Cantique de Jean Racine, Op.11 槪說 포레(Gabriel Urbain Faure, 1845–1924)는 후기 낭만주의 시대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간결한 세련미와 화성적 색채감이 돋보이는 많은 작품들을 남겼으며, 낭만주의와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한 작곡가이다. 프랑스 남서부 지역 파미에(Pamiers)에서 출생한 포레는 어려서부터 교회 오르간 즉흥연주를 통해 음악적 재능을 인정받고, 1854년 아홉 살의 나이에 파리로 나와 교회음악의 진흥을 위해 설립된 파리 에꼴 니더메이에르(Ecole Niedermeyer)에 입학하여, 중세 르네상스의 종교음악과 바흐, 하이든의 작품을 공부하고, 카미유 생상스Camille Saint-Sa.. 더보기
드보르자크 / 첼로 협주곡 B 단조, Op.104 Antonín Dvorak / Cello Concerto in B minor, Op.104 槪說 첼로 협주곡 B 단조(Cello Concerto in B minor), Op.104는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Dvorak, 1841–1904)가 미국 뉴욕의 국립음악원(National Conservatory of Music) 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에 작곡된 첼로 협주곡이다. 또한 이 곡은, 보헤미아와 미국의 민속 음악이 교묘하게 결합된 독창적인 작품으로서 ‘근대 첼로 협주곡의 황제’라는 별명처럼 첼로 협주곡 중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작품 배경 드보르자크는 51세 때인 1892년 가을, 미국 뉴욕의 국립음악원 원장으로 부임해 3년을 지냈다. 이 기간은 그의 음악 인생에 있어서.. 더보기
쇼팽 / 발라드 1번 G 단조, Op. 23 Frédéric Chopin / Ballade No. 1 in G minor, Op. 23 槪說 이 곡, 발라드 1번 G 단조(Ballade No. 1 in G minor), Op. 23은 쇼팽(Frédéric Chopin, 1810–1849)이 남긴 네 편의 발라드 중 가장 인기있는 작품으로 쇼팽의 섬세한 감성과 독창적인 음악성을 엿볼 수 있는 걸작이다. 쇼팽의 발라드는 성악 장르에 머물러있던 발라드를 피아노 영역으로 가져와 피아노 음악의 새로운 장을 열어 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1810–1856)은 말하기를 이 곡은 “쇼팽의 가장 거칠고 독창적인 작품으로 그의 천재성을 잘 드러낸 곡”이라고 찬사를 보낸 바 있다. 작품 배경 스무 살 때 조국 폴란드를 .. 더보기
브루흐 / 스코틀랜드 환상곡 Max Bruch / Scottish Fantasy in E-flat Major, Op.46 槪說 막스 브루흐(Max Bruch, 1838–1920)의 “스코틀랜드 환상곡(Scottish Fantasy in E-flat Major)”, Op. 46은 스코틀랜드(영국)의 문호 월터 스콧(Walter Scott, 1771–1832)의 작품과 스코틀랜드 민요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된 협주곡으로, 원제는 ‘스코틀랜드 민속 선율을 사용한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 하프를 위한 자유로운 환상곡(Fantasie fur die Violine mit Orchester und Harfe unter freier Benutzung schottischer Volksmelodien, Op.46)’이며,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파블.. 더보기
요하네스 브람스 /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Johannes Brahms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77 槪說 함부르크 출신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주로 활동한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낭만주의 음악의 선도적인 역할을 했던 독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였다. 브람스는 피아노곡을 비롯한 실내악, 교향악, 성악, 합창곡 등 많은 작품들을 작곡하고 피아니스트로서 자신의 작품들을 직접 초연하기도 했으며, 비르투오조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Joseph Joachim) 등과 함께 당대의 뛰어난 연주자로서 명망을 얻기도 했다. 브람스의 작품들은 현대 음악회에서도 자주 연주되는 레퍼토리이며, 특히, 브람스의 유일한 .. 더보기
[新年賀禮 音樂] 요한 슈트라우스 1세 / 라데츠키 행진곡 Johann Strauss Sr. / Radetzky March, Op. 228 槪說 謹賀新年 올해도 어김없이 요한 슈트라우스(Johann Strauss Sr.)의 라데츠키 행진곡(Radetzky March)으로 새해를 맞이합니다. 계묘년(癸卯年), 새해에도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함께하는 한 해 되시기 바랍니다. 이 곡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Johann Strauss Sr., 1804 –1849)가 작곡하고, 오스트리아의 장군 요제프 라데츠키 폰 라데츠(Joseph Radetzky von Radetz)에게 헌정된 곡으로 요한 슈트라우스의 대표작이자 음악사상 가장 유명한 행진곡중의 하나이다. 작품 배경 요한 슈트라우스는 이탈리아 통일전쟁 당시 라데츠키 장군의 전승을 기념하.. 더보기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제3악장 Ludwig van Beethoven / Piano Sonata No.8 in C minor, Op.13, “Pathetique”- 3rd Mov. 槪說 바로크(Baroque)의 황혼이 찾아 들고 가볍고 우아한 갈랑트 음악(Galante Music)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던 18세기 중반, 독일에서는 새롭게 탄생한 건반악기인 피아노를 중심으로 새로운 형태의 “소나타(Sonata)” 형식이 발전하기 시작한다.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 – 1809)과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n, 1756 – 1791)에 의해 무르익은 이 소나타 양식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과 함께 정점에 오른 후 막을 내리게 된다. 피아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