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er 썸네일형 리스트형 [작곡가 시리즈] 19세기의 가장 뛰어난 종합 예술인 "리하르트 바그너"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빌헬름 리하르트 바그너(Wilhelm Richard Wagner, 1813년 5월 22일 ~ 1883년 2월 13일)는 영향력 있는 독일의 피아노 연주자이자 작곡가, 지휘자, 음악 이론가, 그리고 수필가이다. 이력 바그너는 새로운 교향악적 오페라(또는 "악극")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작곡은 연속적인 대위법적 텍스처, 풍부한 화성과 오케스트레이션, 그리고 유도동기(Leitmotif; 특정한 인물이나 상황에 연관된 음악 동기)의 교묘한 사용을 눈여겨볼 만하다. 바그너의 반음계적 음악 언어는 유럽 고전음악의 향후 발전을 암시하며, 이는 극단적인 반음계법과 무조성을 지향한다. 그는 음악적 사고를 그의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이라는 발상을 통해 전..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베네치아 바로크 음악의 거장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Vivaldi) 안토니오 루치오 비발디(Antonio Lucio Vivaldi, 1678년 3월 4일 ~ 1741년 7월 28일)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성직자,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이다. ‘붉은 머리의 사제’(司祭, il Prete Rosso)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음악가로서 대중화를 시도한 인물 중의 한 명이기도 하다. 4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된 《사계》의 작곡가로 잘 알려져 있다. 붉은 머리라서 평생 붉은 머리의 신부라는 조롱과 멸시를 당하기도 했다. 또한 체력이 좋지 않았던 그는 미사보다는 작곡이나 성가대 업무를 주로 보았다. 생애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린 주자였던 조반니 바티스타의 아들로 태어나, 부친에게 음악의 기초를 배웠다. 아버지는 ..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 주세페 포르투니노 프란체스코 베르디(Giuseppe Fortunino Francesco Verdi, 1813년 10월 10일 - 1901년 1월 27일)는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주로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베르디는 19세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곡가로서 그의 작품은 세계 각지의 유수 오페라 극장에서 자주 상연되고 있다. 생애 베르디는 에밀리아로마냐 주 파르마현에서 1813년 10월 10일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당시 주로 행상들을 상대로 한 조그만 여인숙 겸 잡화상을 경영하였다. 소년 시절의 베르디에게는 이른바 천재 소년다운 에피소드는 아무것도 전해져 있지 않지만 시골에서는 그 음악적 재능이 눈에 띌 정도였다. 1832년 5월, 18세 때 고향..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러시아가 낳은 클래식 음악의 거장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Pyotr Ilyich Tchaikovsky)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1840년 5월 7일 ~ 1893년 11월 6일)는 낭만주의 시대 러시아 제국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또한 백조의 호수와 호두까기 인형, 비창 교향곡의 작곡자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적 영감과 관현악법에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는다. 1860년대에는 러시아의 민족주의 음악파인 러시아 5인조의 지도자 밀리 발라키레프와 교제하여 국민악파 음악의 영향을 받았으나 후반에는 낭만주의 경향의 곡을 작곡하였으며 베토벤, 슈베르트의 전통을 러시아로 확산시켰다. 말년에는 유럽 순회 공연을 다녀 성공하기도 했으며, 작품 중 백조의 호수, 호두 까기 인형,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등은 고전 발레 음악 중 최고의 작품으로 높이 평가되고..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핀란드의 국민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장 시벨리우스(1865년 12월 8일 ~ 1957년 9월 20일)는 스웨덴계 핀란드 작곡가이다. 음악 활동을 위해 본명인 요한(Johan) 대신 프랑스식 예명 장(Jean)을 사용했다. 시벨리우스의 음악은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의 시처럼 핀란드의 국민성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핀란드의 국민적 영웅으로 일컬어지는 그는 핀란드 최고의 작곡가일 뿐 아니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세계적인 작곡가이다. 그의 작품은 현대 음악풍은 아니지만, 애조를 담은 북유럽의 음악다운 특색을 가지고 있다. 요한 율리우스 크리스티안 시벨리우스(Johan Julius Christian Sibelius)는 1865년 당시 러시아령 핀란드 공국에 위치한 해멘린나의 스웨..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년 6월 8일 ~ 1856년 7월 29일)은 독일의 작곡가, 피아니스트이자 음악 평론가이다. 1810년 작센주 츠비카우에서 출판업자의 아들로 태어나 라이프치히 대학과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법률을 배우다가 뒤에 프리드리히 비크에게 작곡과 피아노를 배우는 등 피아니스트가 되려고 했다. 그러나 무리한 연습으로 손가락을 다쳐서 작곡가의 길을 가게 되었고, 음악 평론가로서도 활약하게 된다. 중학 시절에 바이런, 리히터 등의 낭만주의 작품을 애독하며 큰 영향을 받았다. 1834년 를 창간하고, 1840년 클라라 비이크와 결혼한다. 그 후 수많은 가곡을 작곡하고 멘델스존의 라이프니츠 음악원에서 ..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독일 리트 형식의 창시자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1797년 1월 31일 ~ 1828년 11월 19일)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서양 고전음악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의 한 사람으로서, 관현악곡을 비롯한 교회 음악, 실내악, 피아노곡 등 수많은 명작들을 남겼으며, 특히 독일 가곡(리트)에 뛰어나고 19세기 독일 리트 형식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여러 가지 의문점을 남긴 채 31세로 병사한 그는 가난과 타고난 병약함 등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600여 편의 가곡, 13편의 교향곡, 소나타, 오페라 등을 작곡했으며, 가곡의 왕이라고 불린다. 유년기 오스트리아 빈의 교외 리히텐탈에서 독일 슐레지엔의 자작농 출신이자 초등학교 교장인 아버지와 요리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 더보기 [작곡가 시리즈] 19세기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파블로 데 사라사테" 파블로 데 사라사테(Pablo de Sarasate) 파블로 데 사라사테(Pablo de Sarasate, 1844년 3월 10일 ~ 1908년 9월 20일)는 스페인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며,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생애 사라사테는 스페인의 팜플로나에서 출생해, 마드리드에서 음악공부를 하고, 1856년 여왕 이사벨라 2세의 지원과 나바라 주의 장학금으로 파리 음악원(Conservatoire de Paris)에 입학하여 알라르 문하에서 사사하였다. 어린 시절이던 1859년부터 관중들 앞에서 연주한 그는 1860년 프랑스 파리 무대에 정식 데뷔했으며, 이듬해인 1861년에는 영국 런던 무대에도 데뷔했다. 사라사테는 유럽 각지와 남, 북아메리카에 걸친 대규모 연주여행을 통해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