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al

훔멜 / 트럼펫 협주곡 E♭ 장조, 1악장

Johann N. Hummel / Trumpet Concerto in E flat major, 1st mov: Allegro con spirit 解說

1778년 슬로바키아의 브라티슬라바에서 태어난 훔멜(Johann Nepomuk Hummel) 은 하이든, 베토벤, 베버, 파가니니와 같은 거장들과 동 시대에 활동했던 탓인지 작곡가로서의 훔멜은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은 아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제2의 모차르트로 평가될 만큼 훔멜의 음악적 재능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트럼펫 협주곡은 하이든의 작품과 함께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다.

 

작곡가 Johann N. Hummel의 사진

훔멜의 트럼펫 협주곡은 빈 트럼펫 비르투오소(Virtuoso)이자 키 붙임 트럼펫 개발자인 안톤 바이딩거(Anton Weidinger)를 위해 1803년에 작곡되어, 그 이듬해 빈 궁정의 신년 음악회 저녁음악으로 안톤 바이딩거에 의해 초연된다. 이후 150년 이상, 1958년까지 이 작품은 잊혀 있다가 예일 대학의 학생 메릴 뎁스키(Merrill Debsky)가 자신의 트럼펫 리사이틀에서 쓰기 위해 발굴했으나, 대영박물관으로부터 악보가 늦게 도착하는 바람에 정작 자신의 연주회에서는 연주하지 못했다고 한다. 또한 메릴 뎁스키는 악보를 아르만도 기탈라 (Armando Ghitalla)에게 보냈고, 기탈라는1964년에 런던의 Town Hall에서 이 곡을 녹음하여 최초로 발매한다.

 

훔멜의 트럼펫 협주곡 제1악장 알레그로 콘 스피리토는 모차르트의 <하프너> 교향곡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듯이 당당한 서주에 이어 트럼펫과 오케스트라가 충실한 대화를 이어간다. 제2악장 안단테는 애수 어린 서주와 트럼펫의 첫 트릴부터 듣는 이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트럼펫 애호가라면 누구나 좋아할 만한 낭만적이고 우수에 찬 선율이 가득하다. 반면에 제3악장 론도에는 곧고 힘찬 선율이 거침없이 뿜어져 나온다.

 

한편, 훔멜의 트럼펫 협주곡은 원래 E장조이지만, 현대에는 핑거링이 용이한 E flat장조로 자주 연주되고 있으며, 현재 발매되고 있는 음반의 절반 이상은 E flat장조이다.

 

  • GoClassic / 훔멜, 트럼펫 협주곡 E장조 (E flat장조) S. 49

Selected Sound 鑑賞

Johann N. Hummel / Trumpet Concerto in E flat major, 1st mov: Allegro con spirit

 

Performer 略歷

· Tine Thing Helseth: 노르웨이 오슬로 출신 트럼펫 솔리스트

 

Composer 略歷

· Johahn Nepomuk Hummel: 슬로바키아 출신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지휘자, 작곡가


트럼펫 솔리스트 티네 팅 헬세스 / 훔멜&#44; 트럼펫 협주곡 E-flate 장조 앨범 이미지
트럼펫 솔리스트 티네 팅 헬세스 / 훔멜, 트럼펫 협주곡 E-flate 장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