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aqin Rodrigo / Concierto De Aranjuez 槪說
호아킨 로드리고(Joaquin Rodrigo, 1901~1999)는 에스파냐 발렌시아(Valenciana) 주(州) 사군토(Sagunto)에서 출생한 20세기 스페인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3세 때부터 시력을 잃고 맹인이 되어 색채의 세계와 차단되는 대신에 음의 세계에 밀착, 접근하게 되어 음악에 비상한 관심과 열정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로드리고는 발렌시아에서 프란시스코 안티치를 사사한 후, 파리의 에콜 노르말 드 뮤지크(École Normale de Musique)에 입학하여 폴 뒤카(Paul Dukas)로부터 작곡법을 배우고, 모리스 엠마누엘과 앙드레 피로 교수에게 음악이론을 공부했으며, 스페인에 귀국한 후에는 마드리드 국립 대학 음악사 교수로 활동하였다.
로드리고가 남긴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관현악곡 《어느 신사를 위한 환상곡 Fantasia para un Gentilhombre》, 《어린 시절을 위한 5개의 소품 Cinco piezas in fantiles》, 《음유 시인 Juglares》, 《정원 음악 Musica para un jardin》, 발레곡 《국왕의 춤 Pavan Real》, 오페레타 《이별의 소나타 Sonada de Adios》, 피아노곡 《아침 수탉의 전주곡 Prelude au Coq Matinal》 등이 있으며, 협주곡으로는 《아랑후에스 협주곡》 외에 《세레나데 협주곡 Harp Concierto Serenata》, 《여름 협주곡: Concierto de Estio》, 《영웅 협주곡 Concierto de Heroico》 등이 있다.
협주곡 “아랑후에스”는, 로드리고가 마드리드 남부지역에 있는 18세기 부르봉 왕가의 여름궁전, 아랑후에스를 방문했을 때 별궁 주변에 거주하는 집시들의 생활 환경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4대의 기타를 위한 《안달루시아 협주곡 Concierto andaluz》과 함께 로드리고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1940년 말에 완성되어 그 해 12월 바르셀로나에서 초연되었으나, 처음에는 오케스트라와 기타의 협연상 문제로 연주회 자체가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연주회는 크게 성공하였고 20세기 최고의 유명 협주곡이 되었으며, 음량이 작아서 주로 소품연주에만 쓰이던 기타를 주요 협주악기의 하나로 자리잡게 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는 작품이 되었다.
전 3악장 구성의 이 협주곡은 생기 넘치는 두 알레그로 악장(제1악장 Allegro con spirito와 제3악장 Allegro gentile)이 아다지오 악장(제2악장 Adagio)을 사이에 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제2악장 Adagio의 애수에 찬 주제 선율은 너무나 유명하여 흔히 단독으로 연주되기도 하고, 팝 음악 《사랑의 아랑후에스 Aranjuez Mon Amour》로 편곡되기도 하였다.
- 아티스트
- Narciso Yepes, Odon Alonso, Orquesta Sinfonica R.T.V. Espanola
- 앨범
- 50 Classical Masterworks
- 발매일
- 1970.01.01
Selected Sound 鑑賞
로드리고 / 아랑후에스 협주곡
Joaqin Rodrigo / Concierto De Aranjuez
Performer 略歷
· John Christopher Williams: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출신 클래식 기타 연주자
Composer 略歷
· Joaquín Rodrigo: 스페인 사군토 출신 작곡가, 피아니스트
Joaqin Rodrigo / Concierto De Aranjuez, 2nd Mov.(Mona Wassef: Harp)
'class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베르트 / 네 손을 위한 환상곡, D. 940 (0) | 2022.11.11 |
---|---|
에릭 사티 / 3개의 짐노페디 (0) | 2022.11.09 |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 3번, Op.30 (0) | 2022.10.07 |
헨리 퍼셀 / 요정 여왕 (0) | 2022.10.05 |
프로코피에프 / 로미오와 줄리엣 (0) |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