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al

차이콥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Op. 35

Pyotr Ilyich Tchaikovsky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35

1878년 봄, 차이콥스키는 스위스 제네바 호수 근교의 클라렌스에서 결혼의 상처(1877년 여름에 차이콥스키는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 밀류코바라는 여성과 결혼했지만 석달 만에 파경을 맞았다)를 달래고 있었다. 3월 14일, 자신의 제자였던 요시프 코테크가 찾아왔다. 그 때는 차이콥스키가 한창 [피아노 소나타 G장조]를 작곡하던 시기였다. 베를린에서 요제프 요아힘에게 바이올린을 배우고 있던 코테크는 랄로의 [스페인 교향곡]의 악보를 보여주었고, 두 사람은 이 곡을 함께 연주했다. 그리고 차이콥스키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고 싶다는 열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Pyotr Ilyich Tchaikovsky 프로필 이미지

사실 코테크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차이콥스키에게 작곡을 배웠던 인연으로 그와 오랫동안 교류해왔다. 차이콥스키가 폰 메크 부인을 알게 된 것도 코테크를 통해서였고, 차이콥스키는 코테크를 위해 [왈츠-스케르초]를 작곡할 만큼 두 사람의 관계는 깊었다. 마침내 4월 4일 모든 작업을 끝냈다. 그러나 차이콥스키는 여전히 2악장이 마음에 걸렸으며,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차이콥스키는 결국 처음 작곡했던 2악장(두 달 후 [명상곡]으로 출판된다)을 버리고 하루만에 새로운 안단테 악장을 썼다. 그리고 4월 11일에 악보의 초고가 나왔다. 차이콥스키가 [4번 교향곡]과 오페라 [예프게니 오네긴]을 막 끝냈을 때였다. 출판은 모스크바의 표트르 위르겐슨이 맡았고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악보가 그 해 10월에, 오케스트라 파트보는 1879년 8월에 나왔다.

 

1악장 - Allegro moderato

조용한 서주와 함께 두 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여리게 도입 선율을 연주하고 10마디부터 제1주제를 다시 연주한다. 그리고 바이올린 카덴차가 연주되는데, 대단히 화려한 특징이 있다. 폭풍처럼 몰아붙이는 파워는 차이콥스키의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에 힘입어 폭발적인 파워를 느끼게 한다. 중요한 것은 오케스트라와 바이올린 독주 사이의 미묘한 균형인데, 차이콥스키는 기교적인 카덴차와 질주하는 듯한 오케스트라의 대비감을 표현하는 데 있어 최상급의 작곡가였다.

 

2악장 - Canzonetta Andante

관악기의 서주가 흐른 후 서정적인 주제를 바이올린이 노래하는데, 차이콥스키의 감수성이 잘 표현되어 있다. 무엇보다 바이올린의 부드러운 음색 조절은 연주자의 능력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3악장 - Finale Allegro Vivacissimo

오케스트라의 강력한 어택과 함께 16마디부터 37마디까지 바이올린 카덴차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러시아의 민속 춤곡 스타일이 물씬 풍기는 3악장은 서정성과 격정 그리고 탄식과 희망 사이를 교차하고 있다. 5도음정의 관악기들과 함께 제2주제가 시작되는데 활발하게 움직이는 독주 바이올린은 절망과 희망을 교차하면서 감정의 등고선을 자극한다.

 

  • naveCast: 차이콥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Selected Sound

Pyotr Ilyich Tchaikovsky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35

Performer

  • Itzhak Perlman: 이스라엘 출신 미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Composer


바이올리니스트 이츠하크 펄먼: 차이콥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Op. 35 앨범 이미지
바이올리니스트 이츠하크 펄먼: 차이콥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D 장조, Op.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