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pular/theme of X-mas

오소서 임마누엘 - 크리스마스 버전 / 피아노 가이스

The Piano Guys / O Come, Emmanuel - Christmas Version 槪說

오소서 임마누엘, 메리 크리스 마스, 동방박사

 

O come, O come, Emmanuel / And ransom captive Israel
That mourns in lonely exile here / Until the Son of God appear
Rejoice! Rejoice! Emmanuel / Shall come to thee, O Israel

- Hymns Ancient and Modern (1861)

중세 때부터 전해 내려온 찬송 중의 하나인 <오소서 임마누엘>은 대림절(Advent)시기에 주로 쓰인 찬송이지만 크리스마스 캐럴로 불리기도 한다. 대림절은 성탄절로부터 4주 전에 시작되는, 예수님의 탄생과 다시 오심을 기다리는 교회력상의 중요 절기이다.

 

O Come&#44; Emmanuel - Christmas Version

대림절과 성탄절 이야기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마리아일 것이다. 마리아의 순종으로부터 예수님의 잉태 사건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루카복음 1장 46-55절의 말씀중에, 신약 시대의 유명한 찬송 중의 하나로 <마리아의 노래>가 있다. “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나님 안에서 기뻐 뛰니/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로 시작되는 이 찬송은, 첫 마디가 라틴어 Magnificat로 시작되기 때문에, 음악 용어로 마그니피카트(Magnificat)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찬송은 중세 때부터 주로 대림절 마지막 주간에 쓰인 성가이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탄생할 아기 예수의 특성과 <마리아 찬송>을 연관시켜, 긴 모음 오(O)와 그 뒤에 메시아를 상징하는 7개의 짧은 라틴어 성구 오-지혜(O-Sapientia), 오-주(O-Adonay), 오-이새의 뿌리(O-Radix Jesse), 오-다윗의 열쇠(O-Clavis David), 오-동방(O-Oriens), 오-왕(O-Rex), 오-임마누엘(O-Emmanuel)을 붙이고, 이 7개의 성구를 주제로 하여 가사와 곡을 붙여 찬송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찬송의 원작자는 미상未詳이다. 하지만 이 중세 찬송가의 가사를 영어로 번역한 사람은 영국의 성공회 사제이자 찬송 작가인 (John Mason Neale, 1818~1866)이며, 이 찬송의 선율은 중세 그레고리 성가 중 하나라는 기록과, 프랑스 단선율 성가 중의 하나라는 기록도 있으나, 우리에게 친숙한 Veni Emmanuel 선율은 영국의 찬송 작가 토머스 헬모어(Thomas Helmore, 1811~1890)가 편곡한 것이다.

 


The Piano Guys / O Come&#44; Emmanuel - Christmas Version 대표 이미지: 은하수&#44; 밤하늘&#44; 산과 숲
The Piano Guys / O Come, Emmanuel - Christmas Version

 


 
O Come, O Come, Emmanuel
아티스트
The Piano Guys
앨범
O Come, Emmanuel
발매일
1970.01.01

Selected Sound 鑑賞

피아노 가이스 / 오소서 임마누엘 - 크리스마스 버전

The Piano Guys / O Come, Emmanuel - Christmas Version

 

Performer 略歷

· The Piano Guys: 존 슈미츠, 스티븐 샤프 넬슨, 폴 앤더슨, 앨 반 더 빅으로 구성된 미국의 크로스오버 음악 그룹

 


피아노 가이스 / 오소서 임마누엘 - 크리스마스 버전


 

O Come, O Come, Emmanuel | The Tabernacle Cho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