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onio L. Vivaldi / Gloria in D major, RV 589 槪說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Antonio Lucio Vivaldi 1678-1741)는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성당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조반니 바티스타(Giovanni Battista Vivaldi)의 아들로 태어나 부친으로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고, 23살에 사제 서품을 받지만, 주로 베네치아의 피에타 오스페달레 소녀 고아원(수도원이자 교회기관)의 음악장(Cantor)으로서 바이올린 교수와 합창지휘 및 작곡 활동에 전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곡, 글로리아(Gloria) D 장조, RV 589는 비발디 사후 오랫동안 사장되어 있었으나, 1926년 다수의 비발디 교회음악 작품들이 발견되었을 때, 이 곡도 그 중에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작품의 작곡 시기나 배경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비발디가 피에타 오스페달레 음악장으로 있던 시절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초연은, 이 곡을 발견하고 스케치 상태로 남아있던 일부분을 보완한 이탈리아의 작곡가 알프레드 카젤라(Alfred Casella, 1883-1947)에 의해, 1939년 9월 20일 시에나 비발디 페스티발((Siena Vivaldi Festival)에서 카젤라 자신의 지휘로 이루어졌다.
참고로, 음악에서 미사(Missa)란, 초대교회 때부터 “말씀”(speaking)과 “노래”(singing)의 중간 형태로 “낭송”(Recitative)되면서 음악적인 형식으로 발전했으며, 사제와 신자 사이의 “낭송”에 고유부분(Proprium)과 통상부분(Ordinarium)이 부가되어 “미사곡”는 낭송부분을 포함한 고유부분과 통상부분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여기서 “고유부분”은 전례에 따라 특정 내용이 바뀌는 부분으로서, 입당송(Introitus), 화답송(Graduale), 알렐루야(Alleluia: 사순시기에는 Tractus: 부속가), 봉헌송(Offetorium), 영성체송(Communio)으로 구성되며, “통상부분”은 전례에서 항상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부분으로서, 자비송(Kyrie), 대영광송(Gloria), 신경(Credo), 거룩하시도다(Sanctus), 하느님의 어린양(Agnus Dei)이 여기에 속한다. “낭송부분”은 고유부분과 통상부분을 제외한 다른 모든 부분을 말한다.
또한, “낭송부분”은 초대교회 때부터 즉흥연주 형식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하였고, 음악적으로는 “고유부분”이 주로 작곡되었다. 하지만 고유부분은 특정 전례에서만 사용되는 제한 때문에 작곡가들은 모든 전례에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통상부분에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음악사에서 미사의 통상부분이 한 작곡가에 의해 일관되게 작곡된 작품은 아르스 노바(Ars nova: 신예술) 시대인 14세기 때 처음 등장한다. 중세 프랑스의 시인이고 작곡가이며 왕의 종군 사제였던 기욤 드 마쇼(Guillaume de Machaut, c.1300~1377)의 “노트르 담 미사”(Messe de nostre Dame)가 바로 그것이다. 이전까지의 미사곡이 모두 미사 통상부의 각 부분을 각각 작곡하고 그것을 합체한 것이었다면, 기욤 드 마쇼의 <노트르 담 미사>는 미사 통상문 5부분을 하나로 묶은 최초의 완성형 미사곡이었다. 이후, 교회음악에서 “미사”라고 하면 미사 통상부분을 일관되게 작곡한 작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글로리아는 미사통상문의 두 번째에 속하는 대영광송으로서, 내용은 예수님의 탄생 소식을 알리고 천사들의 찬미를 전하는 루가 복음(2장 14절)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대림절과 사순절을 제외한 모든 주일, 대축일, 축일 미사 때에 신자들이 일어서서 “Gloria(대영광송)”을 모두 함께 또는 번갈아 가며 노래하거나 낭송한다.
이 곡은 모두 12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곡의 가사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Gloria in excelsis Deo. Allegro D Major, 4/4박자: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2. Et in terra pax homonibus bonae voluntatis. Andante b minor, 3/4박자, 합창: 땅에서는 주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3. Laudamus te. Benedicimus te. Adoramus te. Glorificamus te. Allegro G Major, 2/4박자, soprano 2중창: 주님을 기리나이다. 찬양하나이다.
4. Gratias agimus tibi. Adagio e minor, 4/4박자, 합창: 감사하나이다.
5. Propter magnam gloriam tuam. Allegro e minor, 4/2박자, 합창: 주님 영광 크시오니
6. Domine Deus, Rex caelestis, Deus Pater omnipotens. Largo C Major, 12/8박자, soprano aria: 주 하느님, 아버지 하느님
7. Domine Fili Unigenite, Jesu Christe. Allegro F Major, 3/4박자, 합창: 성부의 외아드님 예수 그리스도님
8. Domine Deus, Agnus Dei, Filius Patris, Qui tollis peccata mundi miserere nobis. Adagio d minor, 4/4박자, alto solo와 합창: 주 하느님,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9. Qui tollis peccata mundi suscipe deprecationem nostram. Adagio e minor, 4/4박자-3/2박자, 합창: 세상에 죄를 없애시는 주님. 저희의 기도를 들어 주소서.
10. Qui sedes ad dexteram Patris miserere nobis. Allegro b minor, 3/8박자, alto aria: 성부 오른편에 앉아 계신 주님,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11. Quoniam tu solus Sanctus, tu solus Dominus, tu solus Altissimus, Jesu Christe. Allegro D Major, 4/4박자: 홀로 거룩하시고, 홀로 주님이시며, 홀로 높으신 예수 그리스도님
12. Cum Sancto Spiri tu, in gloria Dei Patris. Amen Allegro D Major, 2/4박자: 성령과 함께 아버지 하느님의 영광 안에 계시나이다. 아멘.
- 아티스트
- The English Concert, Trevor Pinnock, The English Concert Choir
- 앨범
- Vivaldi: Gloria in D major RV 589
- 발매일
- 1970.01.01
- 아티스트
- Robert Shaw, Atlanta Symphony Orchestra, Atlanta Symphony Orchestra Chorus
- 앨범
- Christmas With Robert Shaw (Atlanta Symphony Orchestra Chorus)
- 발매일
- 1970.01.01
Selected Sound 鑑賞
비발디 / 글로리아 D 장조, RV 589
Antonio L. Vivaldi / Gloria in D major, RV 589
Conductor 略歷
· Andres Mustonen: 에스토니아의 바이올린 연주자, 지휘자
Composer 略歷
· Antonio L. Vivaldi: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성직자,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popular > theme of X-m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 거룩한 밤; 공중파를 통해 전송된 최초의 음악 (0) | 2022.12.24 |
---|---|
헨델 / 메시아, HWV56 (0) | 2022.12.23 |
주님의 기도 / 안드레아 보첼리 (0) | 2022.12.21 |
크리스마스 캐논(Johann Pachelbel 곡) / Trans-Siberian Orchestra (0) | 2022.12.20 |
오소서 임마누엘 - 크리스마스 버전 / 피아노 가이스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