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al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1번 F 장조, BWV 1046

Johann Sebastian Bach / Brandenburg Concerto No.1 in F major, BWV 1046 解說

19세기 낭만주의 음악가들이 ‘교향곡’을 통해 그들의 음악적 야심을 펼쳤다면, 17, 18세기 바로크 음악의 거장들은 ‘협주곡’으로 작곡 기법을 시험했다. 아마도 협주곡으로 가장 명성을 얻은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는 500여 곡의 훌륭한 협주곡을 남긴 안토니오 비발디일 것이다. 하지만 협주곡의 대가 비발디도 요한 세바스찬 바흐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서 구현해낸 음향의 다양성을 따르지는 못했다.

 

Johann Sebastian Bach의 프로필 이미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바흐가 남긴 협주곡들 가운데서 최대 걸작일 뿐 아니라 ‘합주협주곡’이란 유형으로 분류되는 협주곡 가운데서도 최고의 경지에 오른 작품으로 평가된다. ‘합주협주곡’이란 바로크 시대의 여러 협주곡들 가운데 한 가지 형태로, 독주자가 여러 명 등장하기 때문에 오늘날의 음악회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협주곡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흔히 협주곡은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가 함께 연주하는 기악곡’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런 정의는 주로 고전주의 시대 이후의 음악에 통용되며, 그 이전의 음악, 즉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은 ‘관현악 협주곡’(orchestral concerto), ‘합주 협주곡’(concerto grosso), 독주 협주곡(solo concerto)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독주 그룹과 합주 그룹이 대비되는 ‘합주 협주곡’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작품 하나하나를 살펴보면 단지 합주 협주곡 유형으로 한정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어 흥미롭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이 작품에는 바흐 당대에 사용 가능한 거의 모든 악기가 다 동원되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협주곡은 악상의 다양함과 화려함도 대단하지만, 트럼펫과 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이 독주 악기로 사용되는 제2번을 비롯하여 바이올린 파트가 완전히 빠져 버린 제6번 등에서 보인 상상을 초월하는 악기 편성법이야 말로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을 더욱 특별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이 여섯 곡의 협주곡들이 ‘브란덴부르크’라는 명칭을 갖게 된 연유는 1721년에 바흐가 이 작품들을 브란덴부르크 공 크리스티안 루트비히에게 바쳤기 때문이다. 음악 애호가인 브란덴부르크 공은 바흐에게 작품을 의뢰하였는데, 바흐는 쾨텐 공의 궁정 악단을 위해 작곡해 두었던 6곡의 협주곡을 정리해서 브란덴부르크 공에게 헌정하기로 했다. 브란덴부르크의 크리스티안 루트비히 공은 바흐의 협주곡들을 몹시 마음에 들어 했으나 이 협주곡들을 연주하려면 여러 가지 악기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브란덴부르크 궁정악단의 멤버들만으로는 이 곡을 연주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 naverCast / 바흐,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Selected Sound 鑑賞

Johann Sebastian Bach / Brandenburg Concerto No.1 in F major, BWV 1046

 

Conductor 略歷

· Claudio Abbado: 이탈리아 밀라노 출신 지휘자

 

Composer 略歷

· Johann Sebastian Bach: 독일의 오르가니스트, 작곡가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1번 F 장조, BWV 1046 앨범 이미지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1번 F 장조, BWV 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