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gak & k-artsongs 썸네일형 리스트형 최영섭 곡 / 그리운 금강산 그리운 금강산(한상억 시) / 플라시도 도밍고, 홍혜경, 연광철 “그리운 금강산”은, 1962년 초연된 칸타타 “아름다운 내강산(한상억 작사, 최영섭 작곡)” 11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우리 가곡이다. 작곡 당시 한상억은 은행원이자 시인이었고, 최영섭은 음악 교사였는데, 강화도가 고향인 두 사람은 서로 가까운 사이였다고 한다. 당시 중앙방송, 현재의 KBS의 〈이주일의 코너〉에서 매주 창작곡을 선보였는데, 1961년에는 한국 전쟁 11주년을 맞이하여 “조국 강산”을 주제로 한 곡을 이들에 의뢰하였다. 이 곡 〈그리운 금강산〉은 중국과 구 소련 교포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노래로써 한상억의 시에 최영섭이 곡을 붙였으며, 가사는 금강산의 절경과 분단으로 인해 가지 못하는 심경을 표현하고 있다. wikiPe.. 더보기 고향의 노래 / 이수인 곡(김재호 시) 한국 예술가곡: 고향의 노래 아래의 글은, 이 곡을 쓴 이수인 선생의 “고향의 노래”에 대한 회고담과 김재호 선생이 쓴 노랫말을 옮겨온 내용입니다. 몸살 나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작품을 완성했을 때의 기쁨은 마치 바라고 바라던 귀한 아이를 얻은 어머니의 기쁨에 비길 만한데. 이는 오직 창작의 기쁨을 맛본 자만이 누리는 특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내게 있어 행복한 순간이 언제냐고 묻는다면 단연 독서나 명상을 통해 얻은 좋은 글과 악상으로 새로운 곡을 탄생시켰을 때라고 말하고 싶다. 그 중에서도 1960년대 말 “고향의 노래”를 작곡하고 났을 때 받은 마음의 위안과 행복감을 지금도 나는 잊지 못한다. 그 당시 나는 꿈같이 지낸 고향에서의 교직생활을 접고 서울로 와 새로운 생활을 시작했는데, ‘.. 더보기 국립국악관현악단 / 신뱃놀이(원일 곡) Won Il / New Boating “신뱃놀이”는 ‘리듬의 유희’를 위한 놀이적 음악입니다. 전통음악에서 흥과 신명을 일으키는 요소인 장단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정형화시켜 그 위에 경기 뱃노래의 선율을 테마로 차용하였다고 합니다. 리듬의 구조는 굿거리의 중심 박자를 여섯 박자로 구성하여 다양한 리듬들이 하나의 통일된 틀거리 리듬 안에서 놀이하게끔 의도한 작품이며, 전반부에 여러가지 재미있는 타악기들을 사용하여 흥미를 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큰 리듬의 변화와 전체적인 곡의 분위기가 신선하고, 굿거리로 이어진 경기 뱃노래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청년들의 힘찬 기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또한, 아프리카 리듬에 얹힌 뱃노래의 가락이 세련되고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문화포털/예술지식백과(음악.. 더보기 [국악의 향기] 정대석의 거문고 독주곡 / 달무리 Jeong Dae-seok’s Geomungo solo / Ring Around the Moon “달무리”는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정대석이 1993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이 곡은 거문고의 중후한 음색으로 달무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개방현을 다양하게 승화시켜 달에 대한 신비로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모두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이 곡의 제1악장 ‘달빛’은 그리움과 연민을 표현하고, 제2악장 ‘달맞이’는 달을 맞는 즐거움과 쥐불놀이하는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제3악장 ‘달무리’는 이 곡의 절정으로 달무리를 맞는 환희와 달무리의 신비로움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선율분석 는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26마디, 2악장은 61마디, 3악장은 66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은 작곡자의..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