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래식음악

브루흐 / 스코틀랜드 환상곡 Max Bruch / Scottish Fantasy in E-flat Major, Op.46 槪說 막스 브루흐(Max Bruch, 1838–1920)의 “스코틀랜드 환상곡(Scottish Fantasy in E-flat Major)”, Op. 46은 스코틀랜드(영국)의 문호 월터 스콧(Walter Scott, 1771–1832)의 작품과 스코틀랜드 민요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된 협주곡으로, 원제는 ‘스코틀랜드 민속 선율을 사용한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 하프를 위한 자유로운 환상곡(Fantasie fur die Violine mit Orchester und Harfe unter freier Benutzung schottischer Volksmelodien, Op.46)’이며, 당대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 파블.. 더보기
요하네스 브람스 /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Johannes Brahms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77 槪說 함부르크 출신으로 오스트리아 빈에서 주로 활동한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낭만주의 음악의 선도적인 역할을 했던 독일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바이올리니스트였다. 브람스는 피아노곡을 비롯한 실내악, 교향악, 성악, 합창곡 등 많은 작품들을 작곡하고 피아니스트로서 자신의 작품들을 직접 초연하기도 했으며, 비르투오조 피아니스트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하임(Joseph Joachim) 등과 함께 당대의 뛰어난 연주자로서 명망을 얻기도 했다. 브람스의 작품들은 현대 음악회에서도 자주 연주되는 레퍼토리이며, 특히, 브람스의 유일한 .. 더보기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8번 "비창" 제3악장 Ludwig van Beethoven / Piano Sonata No.8 in C minor, Op.13, “Pathetique”- 3rd Mov. 槪說 바로크(Baroque)의 황혼이 찾아 들고 가볍고 우아한 갈랑트 음악(Galante Music)이 인기를 얻기 시작했던 18세기 중반, 독일에서는 새롭게 탄생한 건반악기인 피아노를 중심으로 새로운 형태의 “소나타(Sonata)” 형식이 발전하기 시작한다.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 – 1809)과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n, 1756 – 1791)에 의해 무르익은 이 소나타 양식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과 함께 정점에 오른 후 막을 내리게 된다. 피아노 .. 더보기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1번 C 장조, Op.15 L. van Beethoven / Piano Concerto No. 1 in C major, Op.15 解說 1795년 작곡한 B 플랫 장조에 이어 두 번째로 작곡된 이 작품의 경우 작곡 연도가 분명하지 않다. 한편에서는 1793년 스케치를 시작해 1794년부터 1795년 사이에 본격적으로 작곡해 완성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일부 음악 학자들은 베토벤이 마지막까지 작품을 수정 보완하는 성향과 초연 때 새로운 악보를 가지고 와 연주했다는 점을 들어, 1797년부터 1798년 12월 18일 초연 직전까지 작곡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초연은 헝가리 여행 중 프라하 콘빅트(Prague Konvikt) 강당에서 그 자신의 독주로 이루어졌으며, 곡은 베토벤의 피아노 제자이자 후견인이었던 오데스칼키 후작.. 더보기
모차르트 / 아베 베룸 코르푸스 W. A. Mozart / Ave Verum Corpus, K. 618 아베 베룸 코르푸스(Ave Verum Corpus)는 성체 안에 현존하는 예수님을 찬미하는 짧은 성가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모차르트의 아베 베룸 코르푸스 D장조, KV 618”을 비롯하여 “그레고리오 성가 아베 베룸 코르푸스” 등이 있다. 여기에 소개된 아베 베룸 코르푸스(Ave Verum Corpus)는 모차르트가 사망하기 몇 개월 전(1791년 6월)에 작곡된 작품으로서, 혼성 4부 합창과 현악 합주, 오르간의 연주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이 곡은 “엑술타테, 유빌라테”(“Exsultate, Jubilate”, K.165)와 함께 모차르트의 가장 유명한 모테트 중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Selected..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