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 Dae-seok’s Geomungo solo / Ring Around the Moon
“달무리”는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정대석이 1993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이 곡은 거문고의 중후한 음색으로 달무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개방현을 다양하게 승화시켜 달에 대한 신비로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모두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이 곡의 제1악장 ‘달빛’은 그리움과 연민을 표현하고, 제2악장 ‘달맞이’는 달을 맞는 즐거움과 쥐불놀이하는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제3악장 ‘달무리’는 이 곡의 절정으로 달무리를 맞는 환희와 달무리의 신비로움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선율분석
<달무리>는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26마디, 2악장은 61마디, 3악장은 66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은 작곡자의 호흡에 의거한 잦은 변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악장은 자진모리, 제3악장은 휘모리 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달무리>는 주요하게 출현하는 선율형태의 변화에 따라 10단락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제1악장 - 달빛
제1악장은 3/4, 5/4, 3/4, 4/4, 7/4, 6/4, 2/4의 잦은 변박으로 인한 multimeter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움과 연민’을 표현하였다. 제1악장의 단락은 선율형태의 변화에 따라 크게 제1부분(제1∼10마디)·제2부분(제11∼23마디)·제3분(제24∼26마디)의 3부분으로 나뉜다.
제2악장 – 달맞이
제2악장은 ♩=90의 12/8박 자진모리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달을 맞이하는 즐거움과 쥐불놀이를 표현하고 있다. 제2악장은 선율과 리듬에 따라 크게 제1분(제1∼10마디), 제2부분(제11∼51마디), 제3부분(제52∼61마디)의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3악장 - 달무리
제3악장은 66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박자는 4/4박자에서 3/4박자로 변화하고 템포는♩=86에서 ♩=92으로 변화한다. 제3악장은 속도의 변화와 리듬에 따라 제1부분(제1∼8마디), 제2부분(제9∼24마디), 제3부분(제25∼62마디), 제4부분(제63∼66마디)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3악장으로 구성된 <달무리>는 개방현을 활용한 화음적 진행이 특징적인 작품이다. 선율의 진행양상은 전체적으로 C와 F를 주요음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3악장 모두 F로 종지한다. 제1악장에서는 c-f의 완전4도와 e♭-f의 장2도진행이 특징을 이루고 제2악장과 제3악장에서는 완전5도와 완전4도, 장2도 관계의 선율진행이 주요하게 나타난다. 3악장에서는 유사한 리듬을 바탕으로 한 주고받는 선율의 진행이 나타나며 전통음악인 가야금 산조 중 자진모리가락을 모티브로 한 선율로서 창작곡 내에 전통적 요소를 더하고 있다.
조현법은 기존의 작품들에서 사용하던 전통적인 조현법과 달리 괘상청과 괘하청을 c와 a♭으로 조율하는 새로운 조현법을 사용함으로써 개방현을 선율과 화음의 기능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유현과 대현, 대현과 괘상청, 자출과 손가락을 사용한 주법을 활용하여 음색에 변화를 줌으로써 거문고의 음색적 특징을 강조하였다.
표제적 특징은 전 악장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1악장에서는 퇴성 및 추성, 퇴이추 주법을 통하여 달빛의 그리움을 표현하였으며 제2악장에서는 hemiola와 3분박의 혼합박과 동음진행 및 완전4도 도약진행을 통해 쥐불놀이하는 모습을 표현하였고, 제3악장에서는 분할리듬의 반복과 손가락을 이용한 주법을 통한 고음역대의 선율로서 달무리의 절정을 표현하였다.
리듬은 잦은 변박으로 이루어진 1악장을 제외한 2악장과 3악장이 자진모리와 휘모리 장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전통장단을 바탕으로 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 한나라 / 정대석 거문고 독주곡의 음악적 특징(한양대 국악학과 박사학위 청구 논문)
Selected Sound
Jeong Dae-seok’s Geomungo solo / Ring Around the Moon
'gugak & k-artso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일남 곡 / 비목(碑木, 한명희 시) (0) | 2022.06.06 |
---|---|
채동선 곡 / 그리워 (0) | 2022.02.27 |
최영섭 곡 / 그리운 금강산 (0) | 2022.02.18 |
고향의 노래 / 이수인 곡(김재호 시) (0) | 2022.02.17 |
국립국악관현악단 / 신뱃놀이(원일 곡)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