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a page in a book [함께 읽는 글] 프랙탈 음악 / 물리학으로 조명한 음악세상 바흐에서 비틀즈까지 대중이 선호하는 음악에는 공통적인 패턴이 있다? 오래전에 읽은 책이지만 물리학자들이 음악을 대하는 시각을 엿볼 수 있는 글이 있어 그 일부를 발췌하여 소개하려고 한다. 이 책은 우리 주변의 사회현상을 젊은 물리학자의 시각으로 재조명한 논픽션 과학 이야기 책이다. 과학 콘서트라는 표제도 흥미롭지만 장별 주제와 내용도 다르지 않다. 머리글에서 저자는 말하기를, 20세기 후반들어 ‘복잡성의 과학’ 분야가 발전하면서 물리학자들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패턴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그 속에 담겨있는 법칙들이 무엇인지 탐구하기 시작했으며, 카오스 이론과 복잡성의 과학은 그동안 과학자들이 손대지 못했던 복잡한 자연 현상들 속에서 규칙성을 찾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왔다고 한다... 더보기
  • a page in a book [함께 읽는 글] 법정스님 / 녹은 그 쇠를 먹는다 녹은 그 쇠를 먹는다 / 무소유 산이나 절에 특별한 인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산자락 깊숙한 곳에 자리한 고찰을 찾으면 늘 마음이 평온해지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코로나 19 상황이 2년 넘게 지속되면서 상황이 악화될수록 인적이 드문 산사를 찾아 쉬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마음과 달리 집안에 갇혀 음악과 책으로 위로를 삼고 있다. 최근, 블로그 활동을 재개하면서 글감도 찾을 겸 법정스님의 산문집 “무소유”를 다시 읽고 있다. 이 책은 지나치게 소유욕에 사로잡힌 현대인들에게 법정스님이 전하는 많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지만 내마음이 동하는 내용들을 간추려 몇 차례에 걸쳐 소개하려고 한다. 우연인지 몰라도 이 내용들은, 오래전 대학시절에 인연이 된 벗, 이연 이유경 화백이 법정스님의 산문을 바탕글로 하여 묵으.. 더보기
gugak & k-artsongs

[국악의 향기] 정대석의 거문고 독주곡 / 달무리

Jeong Dae-seok’s Geomungo solo / Ring Around the Moon “달무리”는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정대석이 1993년에 발표한 작품이다. 이 곡은 거문고의 중후한 음색으로 달무리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특히 개방현을 다양하게 승화시켜 달에 대한 신비로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모두 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이 곡의 제1악장 ‘달빛’은 그리움과 연민을 표현하고, 제2악장 ‘달맞이’는 달을 맞는 즐거움과 쥐불놀이하는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제3악장 ‘달무리’는 이 곡의 절정으로 달무리를 맞는 환희와 달무리의 신비로움을 표현하였다고 한다. 선율분석 는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은 26마디, 2악장은 61마디, 3악장은 66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은 작곡자의..

더보기

Ditigal 音樂 Gallery의 최신 글